ESG 평가

평가개요 및 방법

ESG평가

평가개요 및 방법
배경 및 목적
  • ESG 관점의 지자체 핵심이슈에 대한 중대성(Materiality) 평가를 통해 행정수행의 적합성 및 정책적 시사점 제시
  • ESG 관점에서 지속가능발전 목표달성을 위한 각 기초지방단체의 행정체계 및 역량에 대한 수준 평가

ESG 기반의 사회 공동체 연대와 협력을 통해 국민 삶의 질적 개선 및 공공선(公共善) 추구

평가 대상 및 기간

대상 : 전국 226개 기초 지방자치단체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25 16 8 10 5 5 5 31 18 11 15 14 22 23 18 226개

※ 세종특별자치시, 제주특별자치도 제외

기간 : 2020. 1. 1. ~ 2021. 06. 30

평가방식
부문별 (각 100점 기준)
정량평가 : 각 부문별 평가요소 15개(전체 45개) 척도항목을 5등급으로 상대 평가하여 항목별로 순위화한 피어(Peer)그룹에 대해 0.5~1.0 스케일로 차등 가중치(수준 비교)에 따라 배점 부여
구분 최우수그룹 우수그룹 양호그룹 보통그룹 미흡그룹
가중치 1.0 0.9 0.75 0.6 0.5
심층평가 (정성평가)
가점 (5점 이내) 감점 (-5점 이내)
상급기관 수상실적에 대해 포상 등위별로 차등점수 부여 발생사건 및 사고 등의 리스크 정도 심사
종합
부문별 평점에 가중치(환경0.5, 사회0.3, 거버넌스0.2)를 적용 산정한 점수에 대해 5단계로 분류한 등급 부여
구분 S등급 A등급 B등급 C등급 D등급
점수 90점 이상 80점 이상 70점 이상 60점 이상 60점 미만
평가 지표

글로벌 이니셔티브(UN SDGs, GRI, ISO26000)가 지향하는 지속가능성에 대한 영향도(시대적·사회적 적용의 필요성)와 사회적 관심도(데이터 수집 용이성)를 고려한 중요성 평가를 통해 지표 설정

부문 평가요소 심층 평가
E (15개 항목) 단체장 의지, 기후변화 대응, 폐기물 관리, 친환경생활, 환경관리 등
  • 가점 : 수상실적
  • 감점 : 사건 및 사고 등
S (15개 항목) 단체장 의지, 교육환경, 보건 및 안전, 생활기반 등
G (15개 항목) 단체장 공약, 재정효율성 및 건전성, 주민참여 및 의회활동, 대외기관 평가 등
데이터 및 정보 원천

정보원천별로 공시된 데이터 및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지속가능성 측면의 핵심이슈에 대한 정량적 요소 도출

데이터 및 정보 원천 비고
행정안전부, 환경부, 보건복지부, 통계청, 에어코리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전국시도의회협의회, 지방재정 365, 광역지자체통계지표, 기초지자체 분야별 공시자료, 한국공공자치연구원, 한국매니패스토실천본부, 기초지자체 보도자료, 기초지자체 및 의회 홈페이지, 아이사랑 홈페이지, 미디어 리서치 등 공시자료 기반
평가 절차

데이터 및 정보 수집 → 자료 분석 → 평가지표 매핑 → 평가 및 등급 책정 → * 자문단 심의 → 평가확정

  • 1차 자문회의 (2021. 4.30) : 평가지표 설계 및 적용에 대한 심의
  • 2차 자문회의 (2021. 8. 9) : 평가지수 자문 및 심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화상회의)
  • 3차 자문회의 (2021. 9.17) : 평가지수 심층회의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ESG지표 자문보고서 제출)
평가등급 및 의미
등급 의미 및 수준
최우수 (S) ESG 행정체계를 매우 충실히 갖추고 있으며, 매우 높은 성과 달성과 ESG 위험요소 비중이 작음
우수 (A) ESG 행정체계를 충실히 갖추고 있으며, 높은 성과 달성과 ESG 위험요소 비중이 다소 작음
양호 (B) ESG 행정체계를 적절히 갖추고 있으며, 양호한 성과 달성과 ESG 위험요소 비중이 큼
보통 (C) ESG 행정체계를 일반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보통의 성과 달성과 ESG 위험요소 비중이 다소 큼
미흡 (D) ESG 행정체계를 부분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다소 부족한 성과와 ESG 위험요인 비중이 매우 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