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정보

ESG 정보

 

[1.5℃ HOW] 'ESG 선도국' 덴마크...“일관된 환경정책 가장 중요”

작성자 관리자 날짜 2025-06-17 15:04:11 조회수 34

내용요약‘삼쇠섬’, 재생에너지 100%로 운영...탄소 배출 ‘마이너스’
세계 최초 에너지 인공섬 건설까지 추진
‘원스톱숍’ 통해 정부 주도로 해상 풍력 발전 확대
“강력한 정책 아래 이해관계자 등과 함께 유연하게 대응해야”

재생에너지 100%로 운영되는 덴마크 '삼쇠섬'의 풍력발전기 / 사진=연합뉴스
재생에너지 100%로 운영되는 덴마크 '삼쇠섬'의 풍력발전기 / 사진=연합뉴스

[한스경제=신연수 기자] 덴마크는 에너지 전환과 탄소중립 선도국가로 꼽힌다. 1970년대 오일쇼크를 계기로 화석연료 이용률과 에너지 수입을 줄이고 자체적으로 발전원을 다양화해 재생에너지 비중을 늘리는 에너지 전환에 나섰다.

덴마크는 2030년까지 이산화탄소 배출량 70%를 줄이고, 2050년에는 완전한 ‘넷제로’를 목표로 하고 있다. 재생에너지 중 해상 풍력 발전에 강점이 있는 덴마크는 정부의 주도로 해상 풍력 발전을 늘리고 있다.

◆ 재생에너지 100% ‘삼쇠섬’

덴마크에는 재생에너지 100%로 운영되는 ‘삼쇠섬’이 있다. 1997년 삼쇠섬이 덴마크 올보르대학 등과 공동으로 기획한 ‘삼쇠섬 개발 프로젝트’는 덴마크 기후유틸리티부의 재생에너지 아이디어 경진 대회에서 우수작으로 채택되며 시작됐다.

재생에너지 섬으로 지정된 삼쇠섬은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지지를 바탕으로 지난 2005년 탄소 제로(0)를 달성했고, 2007년에는 1인당 탄소 배출량 -3.7t을 기록하며 프로젝트 시작 10년 만에 탄소 제로섬을 넘어 ‘탄소 네거티브섬’이라는 기록을 달성했다.

이 섬에는 1MW(메가와트) 규모의 육상 풍력발전기 11기와 2.3MW 규모 해상 풍력 발전기 10기가 가동 중이다. 육상 풍력 발전기 1기는 600가구, 해상 풍력 발전기 1기는 2000가구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덴마크의 여러 해상풍력단지에서 생산된 전력 중 잉여 전력은 수출한다. 덴마크 본토뿐만 아니라 전력망이 연결된 영국, 독일, 스웨덴, 노르웨이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주한덴마크대사관 관계자는 “덴마크는 다행스럽게도 스웨덴, 노르웨이 등 이웃 국가와 영국, 독일과 전력망이 연결돼 있다”며 “덴마크의 재생에너지 발전이 저조하면 이웃 국가에서 에너지를 수입하고, 발전량이 많으면 수출하면서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세계 최초 에너지 인공섬 건설 추진...“비용 문제로 연기”

덴마크는 지난 2021년, 정부와 민간이 합쳐 바다에 풍력 발전기와 이를 운영하는 시설로 구성된 거대한 인공 에너지 섬을 만들기로 했다.

덴마크 정부와 의회는 유틀란트반도 해안에서 80km 떨어진 해상에 12만㎡(약 3만6000평) 규모의 풍력발전 단지를 갖춘 에너지 인공섬을 건설하기로 했지만 비용 문제로 최근 에너지 인공섬 완공 일정을 3년 연기했다. 라스 아가르드 덴마크 기후에너지부 장관은 “에너지섬 건설 비용이 당초 예상한 투자금보다 더 들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덴마크 대사관도 “에너지 인공섬은 비용 문제로 연기된 것”이라며 “덴마크 인근의 본흠이라는 섬에도 지을 예정인데, 이를 주도하고 있는 덴마크 에너지청에서 비용 등 필요한 사항들을 검토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 공개 신청에서 원스톱숍으로...정부 주도 지원

덴마크는 해상 풍력 발전이 가장 잘 구축돼 있는 나라다. 1991년 세계 최초로 해상 풍력 발전단지를 설치했고, 지난해 기준 총 해상 풍력 설치 용량은 2.6GW(기가와트)에 달한다. 1GW 규모의 토르(Thor) 발전 단지는 2027년 완공돼 상업 운전을 시작할 예정이다.

덴마크의 해상 풍력이 이렇게 발전할 수 있었던 건, 정부의 강력한 환경·재생에너지 정책 덕분이다.

하지만 유럽연합(EU)에서 오픈 도어 제도가 불법적인 국가 지원으로 간주돼면서 덴마크 에너지청의 원스톱숍을 통해 관리되는 공공 조달 입찰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특히 이 원스톱숍은 덴마크 에너지청이 부지 선정부터 입찰·허가까지 해상 풍력 프로젝트 개발을 책임지는 행정 절차다. 개발사가 면허를 취득해 해상 풍력 발전 단지 건설을 시작하면 덴마크 정부가 개발 완료 때까지 기업을 서포트한다.

주한덴마크대사관 관계자는 “정부가 먼저 부지 선정 등 사전 작업을 한 후 기업들의 입찰을 받는 원스톱숍 시스템을 통해서 예측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기업들의 경쟁력도 한층 더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우리 정부도 덴마크 정부와 2011년부터 ‘녹색 성장 동맹’을 맺고 재생에너지를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더불어 원스톱숍 시스템을 국내에도 도입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협력하고 있다.

최근에는 송전망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덴마크는 해상 풍력 발전보다는 태양광 발전으로 인해 송전망이 부족해지고 있다.

관계자는 “해상 풍력은 정부가 주도하지만, 태양광은 지자체나 개인 소유 토지에 허가를 받아서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덴마크도 송전망이 부족해지고 있다”며 “이 때문에 덴마크 정부에서 전력망 확장 계획 외에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새 정부가 출범하면서 한국도 재생에너지를 지금보다 더 확대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에도 못 미치는 실정이다.

덴마크는 정부의 확실한 정책 아래 재생에너지 확대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우리도 흔들림 없는 재생에너지 정책이 필요하다.

이 관계자는 “당을 떠나서 정부, 국회가 변하더라도 바뀌지 않는 명확한 정부 정책이 가장 중요하다”며 “정부가 뒤에서 백업하면서 산업계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유연하게 대응한다면 재생에너지는 지금보다 더 확산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